심리학의 거장 셀리그만 교수 이야기
현대 심리학의 별명은 긍정 심리학이다. 왜냐하면 어떻게 하면 보다 많은 사람들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을까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과거 심리학은 마음의 병이 있는 사람을 어떻게 하면 정상인처럼 살게 할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춰왔다. 정식 명칭은 아니지만 긍정 심리학이라는 용어와 대비하여 사람들은 과거의 심리학을 부정 심리학이라 부른다. 부정 심리학에서 긍정 심리학으로의 패러다임 변화에 가장 큰 혁혁한 공을 세운 사람이 있다면 그가 바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마틴 셀리그만 교수다.
1970년 대 초, 당시 젊은 심리학자였던 그는 ‘학습된 무기력’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개척했다. “사람은 외부적인 보상과 처벌에 예측 가능한 반응을 보인다.”는 행동 심리학의 지배적 주장에 그는 실험을 통해 반기를 들었다. 그는 실험 대상에게서 외부 환경(예를 들어 전기충격)을 통제하는 능력을 박탈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험 대상들이 기계적이고 예측가능한 반응(전기충격을 피하는 반응)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쉽게 포기하는 특성(계속 전기충격을 받는 것)을 관찰하였다. 심지어 이들은 모든 상황이 원상태로 돌아와 이득을 취하고 고통을 피할 능력이 있었음에도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았다. 그는 이를 이렇게 결론지었다. “인간은 스스로에게 부정적인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 무기력을 학습하게 된다.”
1980년 대 중반 그는 ‘학습된 무기력’ 이론을 반대로 적용할 경우 역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 호기심을 품었다. 매일 끝없이 밀려오는 거절의 파도에 맞서야 하는 보험회사 영업직원 약 100명을 대상으로 부정 사건에 대한 해석 방식의 긍정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후 2년 동안 참가자들이 얼마나 많은 보험을 팔았고 벌어들인 수수료가 얼마인지를 측정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해석 방식의 긍정 점수가 상위 50퍼센트인 직원들이 하위 50퍼센트인 직원들보다 평균 37퍼센트 이상 보험을 더 많이 판매하였으며, 상위 10퍼센트 직원들은 하위 10퍼센트인 직원들보다 88퍼센트나 더 많이 보험을 판매했다.” 쉽게 말해 영업사원들이 거절을 당한다고 하더라도 스스로 거절을 해석하는 방식이 긍정적이면 더 많이 보험을 판매할 수 있다는 의미다.
또한 “자사에서 일하는 세일즈맨 절반가량이 1년을 못 채우고 퇴사한다.”는 보험사 측의 고민을 듣고, 그는 100명이 넘는 신입 세일즈맨을 대상으로 또 다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해석 방식의 긍정 점수가 하위 50퍼센트인 참가자들이 상위 50퍼센트인 참가자들보다 약 2배 가량 더 많이 회사를 떠났으며, 하위 25퍼센트인 참가자는 상위 25퍼센트인 참가자들에 비해 3배 가량 더 많이 퇴사했다. 그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이렇다. “긍정적인 해석 방식을 사용하는 세일즈맨이 그렇지 않은 동료보다 보험 상품을 더 많이 팔고 더 오랫동안 직장에서 살아남는다. 게다가 해석 방식은 직원을 채용하기 위해 보험업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평가만큼이나 정확하게 업무 실적을 예측해낸다.”

과거의 부정심리학에서 현대의 긍정심리학으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한 셀리그만 교수의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긍정심리학의 꽃이자 하이라이트인 행복에 대해 보다 많은 이해를 하게 되었다. 우리는 어제보다 어떻게 보다 행복한 오늘을 만들어 갈 수 있을까?

 

1. 보다 행복한 삶을 위한 해석 방식 연습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상황에서조차 무기력해지고 쉽게 포기하는 사람들은 부정적 해석 방식을 사용한다. 즉 그들의 해석은 영구적이고, 일반적이며, 개인적이다. 셀리그만 교수는 부정적인 해석 방식을 일시적이고, 한정적이며, 외부적인 긍정적인 해석으로 바꾸라고 조언한다. 예를 들어, 부정적인 사건이 터지면 “이건 내 잘못이야. 이 잘못으로 평생 돌이킬 수 없는 치명상을 입을 거고, 내가 하는 모든 일이 잘못 될 거야”라는 해석을 멈추고, 긍정적인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해석을 연습해보라. “오늘은 정말 운수 없는 날이야. 어제 잠을 푹 자지 못해 기운이 없었을 뿐이고, 단지 상대방이 이번 솔루션에 대해 무지했을 뿐이라고! 오늘은 이랬지만 내가 하는 일은 잘 되거야!”

 

2. 보다 행복한 삶을 위한 긍정과 부정의 황금비율 연습
하지만 우리가 인생을 살다보면 이렇게 긍정 해석으로만 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렇다면 긍정과 부정의 비율이 어느 정도 되어야 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 셀리그만 교수와 여러 심리학자들은 긍정과 부정의 황금비율을 3:1이라고 주장한다. 즉 긍정 해석을 세 번 정도 하는 동안 부정 해석을 한 번 정도하는 것은 우리의 두뇌가 이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니 긍정과 부정의 비율이 3:1 이하 즉 1:1이나 2:1이 되지 않게 연습할 필요가 있다. 물론 4:1이나 5:1도 행복의 비율로 적정하다. 다만 11:1의 비율이 넘어가면 긍정 해석도 득보다 해가 될 수 있다. 그러니 3:1 정도의 수준에서 적절한 자기반성의 기회를 갖는 부정 해석은 용납 가능하다 하겠다.

 

3. 보다 행복한 삶을 위한 세 가지 삶의 내용 연습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3:1의 비율을 어떤 내용으로 채워야 할까? 셀리그만 교수는 세 가지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첫째, 좋아하는 영화나 음악, 여행, 파티 등을 통해 즐거움을 경험하라. 하지만 이런 즐거움은 지속시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영화나 여행 등은 그 순간은 즐겁지만 시간이 흐르면 그 즐거움은 곧 사라지고 마니 말이다. 그러니 둘째로 일하고 아이를 양육하는 평범한 삶에서 몰입하는 만족감을 얻어라. 출근 후 집중해서 일을 하다 시계를 쳐다봤는데 두 세 시간이 훌쩍 지나가버리는 경험이 우리를 행복하게 하지 않던가? 셋째,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여 사회에 기여할 때 우리는 최고의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 자신의 강점으로 다른 이들을 도와줄 때 우리는 사회에 기여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가장 큰 행복을 느끼고, 그 행복감은 아주 오랜 시간 지속된다. 즐거움, 몰입의 만족, 그리고 사회기여를 통해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

 

 

-------------------------------------------------------------------------------------------------------
당신은 직장인코칭전문가 정연식의 MVP입니다.
Mission : 직장인 한 사람의 행복한 성공을 돕기 위해 직장 및 가정 생활의 지혜를 상담하고, 교육하고, 기록한다.
Vision : 대한민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직장인 커리어앤라이프 코치, 교육전문가, 칼럼니스트
Project :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나, 매월 10권 이상의 책을 읽고, 매년 10명 이상의 키맨을 만난다.

저서 : 꿈을 이루어주는 세 개의 열쇠, 자기중심의 인생경영, 직장인 프로 vs 포로
홈피 : www.biztalk.pe.kr 
메일 : biztalk@empas.com
페북 : www.facebook.com/mvpcare

 

이 글은 한전KPS 사보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개인적인 용도는 가능하나 상업적 용도로 다른 매체에 기재하는 것은 허락되지 않습니다.

Posted by 사랑과지혜의시소타기
,